전체 글 34

경제상식 Day 4 - 유동성 (Liquidity)

안녕하세요, 오늘 함께 배워볼 경제상식은 "유동성"입니다. 경제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물론이고 관심이 없는 분들도 TV, 소셜미디어, 신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유동성이란 말을 많이 접하셨을 겁니다. 특히, 과거 서브프라임 모기지, 리먼브라더스 파산 금융위기 이후에 유난히 경제신문이나 기업 관련 자료에 단골로 등장하는 용어입니다. "유동성" - 자산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정도 - 투자자로서 자신이 투자할 기업을 결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관심이 있는 기업이 생겼을 때, 그 기업의 유동성을 중요하게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업의 유동성은 한 기업이 현금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 쉽게 말하면 채무 지불이나 변제 시기에 맞춰 자금을 동원할 수..

경제상식 Day 3 - 분식회계 (Window Dressing Settlement) 그리고 루이싱커피 (Luckin Coffee)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경제상식은 바로 분식회계입니다. 저를 포함한 주식투자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분식회계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분식회계란 한 기업이 경영 성과가 실제 실적보다 좋아 보이도록 회계 장부상의 정볼르 고의 조작하는 행위인데요. 스포츠로 따지면 승부조작이라고도 볼 수 있는 아주 좋지 않은 행위입니다. 과거 몇몇 기업들이 주주들의 비난을 피하거나, 탈세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식회계를 하게 되는데요. 글로벌 경쟁 시대를 맞아 기업의 경영투명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잊을만하면 분식회계 사건이 주요 뉴스로 등장하는 것을 보면 투자자로서 씁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한국의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사례가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2년부터 2014년 3년 동안 5조 원대의 분식회..

경제상식 Day 2 - 인구절벽(Demographic Cliff)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구절벽이라는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려 합니다. 경제뉴스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절벽"이란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인구절벽", "소비 절벽", "고용 절벽"등 현대사회는 절벽의 시대라고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아 보입니다. 오늘 다루게 될 "인구절벽"이란 미국의 유명한 경제학자 중 한 명인 해리 덴트 (Harry Dent)가 주장하였던 이론으로서, 2014년 그가 발간한 "The Demographic Cliff"라는 책에서 유래합니다. 절벽의 사전적 의미는 바위가 깎아 세운 것처럼 아주 높이 솟아 있는 험한 낭떠러지를 뜻하는데, 인구절벽이란 인구가 어느 순간에 마치 낭떠러지에 이른 듯 뚝 떨어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특히, 해리 덴트는 생산가능 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주목하였습니다...

경제 상식 Day 1 - 낙수효과

낙수효과 대기업, 재벌, 고소득층 등의 성장이 곧 전체 경제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오늘은 경제 이론중 낙수효과 이론을 배워보려 합니다. 낙수효과, 또는 트리클다운 (Trickle-Down economics)효과 라고도 불리는 이 이론은 위에 보이는 그림과 같이 맨 윗 쪽의 술 잔이 꽉 차 넘쳐흐른 술이 다른 술 잔들을 고루 채우는 것 처럼, 정부가 투자를 늘려 대기업과 부유층의 부를 먼저 늘려주면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도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 결국 경기가 활성화되고 이에 더불어, 경제발전과 국민복지가 향상된다는 이론입니다. 제가 알아본바에 의하면, 1989년, 지금은 고인이 되신 미국의 41대 대통령 조지 H.W. 부시가, 대기업이 성장하면, 성장세가 하위 계층에게도 흘러가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