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Economic Common Sense 29

경제 상식 29 - 테슬라 S&P 500 편입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오늘은 전기차 기업의 선두주자인 미국 기업 테슬라의 S&P 500 편입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지난 2분기 테슬라는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실적과 함께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4분기 연속 흑자를 내게 되며,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등 미국 경제를 이끄는 대표적 기업들이 속해 있는 S&P 500 지수로의 편입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하지만 끝내 S&P 500 편입에 실패를 하게 되며 주주들이 많은 실망을 하였고, 그로 인한 어마어마한 양의 실망 매물이 쏟아져 나오며 주가가 요동쳤었습니다. 지수 편입에 실패한 이후, 많은 이들이 이유를 궁금해하였습니다만, 누구도 명확한 이유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주가가 불안정하여 변동폭이 너무..

경제 상식 Day 28 - 테슬라 배터리데이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지난 9월 22일 많은 전 세계 투자자분들이 기다려왔던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가 있었습니다. 사실 저는 그 날 친구 집에 방문해서 같이 시청하고 있었는데, 조금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아 있어서 저 혼자 나중에 집에 돌아가 시청하기로 하고 같이 영화만 보고 왔습니다. 집에 돌아왔을 때 Yahoo Finance 앱을 확인해보니 장 마감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 테슬라의 주가가 정말 우수수 떨어지는 것을 보고 나서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속담과 같이 별 내용이 없어서 실망 매물이 쏟아져 나오는구나 생각했습니다. 다음 날, 저는 내용을 확인해보기 위해 3시간가량 되는 영상을 유튜브에서 찾아 시청하였습니다. 시청 후 투자자들이 왜 실망했는지 조금은 알 것 같으면서도, 이..

경제 상식 Day 27 - 네 마녀의 날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한국 날씨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이 곳 캐나다 토론토는 약 2달간의 짧은 여름이 끝나고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가을이 왔습니다. 물론 가을도 워낙에 짧아서 곧바로 월동준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맘 때쯤 생각나는 특별한 날 하면 핼러윈이 있습니다. 마녀 코스튬은 핼러윈의 단골 분장입니다. 마녀 하면 공포스러운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으시나요? 오늘 함께 알아볼 경제 상식은 바로 이 마녀와 관련된 상식입니다. 주식 투자를 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주가지수 선물, 옵션, 개별 주식 선물, 그리고 옵션 등의 파생상품을 잘 알고 계실 거라 믿습니다. 바로 이 파생상품들을 일컬어 마녀라고 합니다. 이 4가지 파생상품들의 만기일이 겹치는 날이 바로 네 마녀의 날입니다. 4가지 파생상..

경제 상식 Day 26 - 윔블던 효과 (Wimbledon Effect)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오늘 배워볼 경제상식은 윔블던 효과입니다. 테니스를 좋아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테니스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매해 영국의 윔블던에서 열리는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를 아실 거라 믿습니다. 1877년에 열린 제1회 대회 이후 이후, 매년 6월 말에서 7월 초까지 2주간에 걸쳐 열리는 윔블던 오픈은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US 오픈과 함께 세계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입니다. 그런데 경제 상식을 알아보는 시간에 왜 갑자기 테니스 대회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그 이유는 바로 윔블던 오픈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현대 사회에서 세계 여러 나라들이 겪고 있는 경제 상황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윔블던 테니스 대회는 본래 과거 영국 상류층을 중심으로 한 폐쇄적..

경제 상식 Day 25 - 라이다(LiDAR) 그리고 벨로다인 (Velodyne)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오늘 다루게 될 내용은 지난 시간에 알아본 기업 인수 목적회사인 SPAC과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지난 글 마지막 즈음에 4차 산업의 핵심 산업 중 하나인 자율주행 자동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술인 LiDAR를 언급했었는데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LiDAR란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준말로서, 펄스 레이저 (Pulsed Laser)를 이용해 주변을 탐지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LiDAR 기술이 우리에게 조금은 낯설게 느껴질 수 도 있겠지만 사실, 이 기술은 레이저의 발명과 함께 탄생하여 지금까지 여러 방면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최근 4차 산업 혁명과 함께 구글, 테슬라, 폭스바겐, 도요타, 현대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자..

경제 상식 Day 24 - SPAC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찾아뵙습니다. 지난 몇 달간 캐나다 영주권 준비등으로 바빠 블로그 관리에 소홀했습니다. 이제 대부분의 중요한 일들이 끝났으니 다시 블로그 관리에 힘을 써보려 합니다. 오늘 알아볼 경제 상식은 바로 SPAC입니다. 몇 년 전부터 주식투자를 꾸준히 해오면서 SPAC이란 단어를 꾸준히 접해왔었는데, 최근 들어서야 SPAC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게 되었습니다. SPAC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자로 우리말로 표현하면 기업 인수 목적회사, 즉 기업 인수를 특별한 목적으로 삼는 회사라는 뜻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SPAC은 다른 기업을 인수하는 동시에 그 인수된 기업과 합병하도록 설계된 회사로서 M&A 즉, 인수..

경제 상식 Day 23 - 비트코인 (Bitcoin)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2017년에 있었던 비트코인 가격의 급상승이 가져온 비트코인 붐은 많은 이들에게 암호화폐 투자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습니다. 급등이 있었으면 급락이 있는 여느 투자 종목과 같이 비트코인 또한 급락을 하면서 당시 여러 투자자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었습니다. 이후 2019년 초부터 다시 한번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창궐과 함께 다 시 한 번 급락하는 상황을 맞이하였습니다. 하지만 3월 말부터 시작된 주식시장의 꾸준한 상승과 함께 암호화폐 시장에도 활기가 돌며 평소 가상화폐 투자에 관심이 있었던 투자자들을 유혹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는 가상화폐 중 하나인 비트코인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비..

경제 상식 Day 22 - 펭귄효과 (Penguin Effect)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지난번에 블랙스완 화이트 스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처럼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동물에 빗대어 표현한 용어가 많습니다. 오늘 알아볼 경제현상은 귀여운 동물의 대명사 펭귄에 빗대어 표현한 펭귄 효과입니다. 남극이나 동물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다 보면 펭귄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때 펭귄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맨 앞에 서 있는 펭귄 한 마리가 바다에 뛰어든 이후 나머지 펭귄들도 그 펭귄을 따라 모두 뛰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펭귄의 습성 중 하나 때문이라고 합니다. 먹이를 구하기 위해 바닷물로 뛰어들어야 하는 펭귄이지만 천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쉽사리 뛰어들지 못합니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먼..

경제상식 Day 21 - 백조 듀오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제가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서 틈틈이 기초적인 경제 공부를 계속하던 중 흥미로운 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경제학자들은 세계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현상을 동물에 빗대어 표현하곤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황소, 비둘기, 매, 곰 등입니다. 오늘 배워볼 기초 경제상식도 이 동물에 빗대어 표현한 경제 현상인 블랙스완, 화이트 스완입니다. 블랙스완 (Black Swan) 먼저 블랙스완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검은 백조라고 합니다. 백조하면 떠오르는 색깔은 흰색인데 검은색 백조라니 뭔가 낯설기만 합니다. 하지만 17세기 한 생태학자가 검은색 백조를 발견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가져다주었습니다. 이처럼 블랙스완은 도저히 일어나지 않을 것만 같은 일이 일어나는 현상..

경제상식 Day 20 - 파레토의 법칙 (Pareto Principle)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VIP 유치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VIP 마케팅 또는 귀족마케팅을 통해 고객층을 다양화하기보다는 실제로 기업 수익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유층을 타겟팅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VIP 마케팅은 Pareto's law 또는 Pareto Principle이라고 불리는 파레토의 법칙을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파레토의 법칙은 위 사진에 보이는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19세기 후반 발견한 법칙으로 전체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주장했습니다. 이 법칙을 마케팅에 대입해보면 상위 20%의 고객인 VIP 고객층이 80%의 매출을 올려준다는 말이 됩니다. 또한 어느 한 기업의 제품군이 다양해지면 매출이 오를 것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