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9

경제 상식 29 - 테슬라 S&P 500 편입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오늘은 전기차 기업의 선두주자인 미국 기업 테슬라의 S&P 500 편입에 대해서 다뤄볼까 합니다. 지난 2분기 테슬라는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도는 실적과 함께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4분기 연속 흑자를 내게 되며,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등 미국 경제를 이끄는 대표적 기업들이 속해 있는 S&P 500 지수로의 편입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하지만 끝내 S&P 500 편입에 실패를 하게 되며 주주들이 많은 실망을 하였고, 그로 인한 어마어마한 양의 실망 매물이 쏟아져 나오며 주가가 요동쳤었습니다. 지수 편입에 실패한 이후, 많은 이들이 이유를 궁금해하였습니다만, 누구도 명확한 이유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테슬라의 주가가 불안정하여 변동폭이 너무..

경제 상식 Day 28 - 테슬라 배터리데이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지난 9월 22일 많은 전 세계 투자자분들이 기다려왔던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가 있었습니다. 사실 저는 그 날 친구 집에 방문해서 같이 시청하고 있었는데, 조금 지루한 감이 없지 않아 있어서 저 혼자 나중에 집에 돌아가 시청하기로 하고 같이 영화만 보고 왔습니다. 집에 돌아왔을 때 Yahoo Finance 앱을 확인해보니 장 마감 이후 시간 외 거래에서 테슬라의 주가가 정말 우수수 떨어지는 것을 보고 나서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속담과 같이 별 내용이 없어서 실망 매물이 쏟아져 나오는구나 생각했습니다. 다음 날, 저는 내용을 확인해보기 위해 3시간가량 되는 영상을 유튜브에서 찾아 시청하였습니다. 시청 후 투자자들이 왜 실망했는지 조금은 알 것 같으면서도, 이..

경제 상식 Day 26 - 윔블던 효과 (Wimbledon Effect)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오늘 배워볼 경제상식은 윔블던 효과입니다. 테니스를 좋아하는 사람은 물론이고 테니스에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매해 영국의 윔블던에서 열리는 오픈 테니스 선수권 대회를 아실 거라 믿습니다. 1877년에 열린 제1회 대회 이후 이후, 매년 6월 말에서 7월 초까지 2주간에 걸쳐 열리는 윔블던 오픈은 호주 오픈, 프랑스 오픈, US 오픈과 함께 세계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입니다. 그런데 경제 상식을 알아보는 시간에 왜 갑자기 테니스 대회 이야기를 하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그 이유는 바로 윔블던 오픈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현대 사회에서 세계 여러 나라들이 겪고 있는 경제 상황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윔블던 테니스 대회는 본래 과거 영국 상류층을 중심으로 한 폐쇄적..

경제 상식 Day 24 - SPAC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찾아뵙습니다. 지난 몇 달간 캐나다 영주권 준비등으로 바빠 블로그 관리에 소홀했습니다. 이제 대부분의 중요한 일들이 끝났으니 다시 블로그 관리에 힘을 써보려 합니다. 오늘 알아볼 경제 상식은 바로 SPAC입니다. 몇 년 전부터 주식투자를 꾸준히 해오면서 SPAC이란 단어를 꾸준히 접해왔었는데, 최근 들어서야 SPAC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게 되었습니다. SPAC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자로 우리말로 표현하면 기업 인수 목적회사, 즉 기업 인수를 특별한 목적으로 삼는 회사라는 뜻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SPAC은 다른 기업을 인수하는 동시에 그 인수된 기업과 합병하도록 설계된 회사로서 M&A 즉, 인수..

경제 상식 Day 22 - 펭귄효과 (Penguin Effect)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지난번에 블랙스완 화이트 스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처럼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동물에 빗대어 표현한 용어가 많습니다. 오늘 알아볼 경제현상은 귀여운 동물의 대명사 펭귄에 빗대어 표현한 펭귄 효과입니다. 남극이나 동물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다 보면 펭귄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이때 펭귄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맨 앞에 서 있는 펭귄 한 마리가 바다에 뛰어든 이후 나머지 펭귄들도 그 펭귄을 따라 모두 뛰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바로 펭귄의 습성 중 하나 때문이라고 합니다. 먹이를 구하기 위해 바닷물로 뛰어들어야 하는 펭귄이지만 천적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쉽사리 뛰어들지 못합니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먼..

경제상식 Day 20 - 파레토의 법칙 (Pareto Principle)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많은 기업들이 VIP 유치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VIP 마케팅 또는 귀족마케팅을 통해 고객층을 다양화하기보다는 실제로 기업 수익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유층을 타겟팅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VIP 마케팅은 Pareto's law 또는 Pareto Principle이라고 불리는 파레토의 법칙을 기반으로 한 것입니다. 파레토의 법칙은 위 사진에 보이는 이탈리아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19세기 후반 발견한 법칙으로 전체 인구의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주장했습니다. 이 법칙을 마케팅에 대입해보면 상위 20%의 고객인 VIP 고객층이 80%의 매출을 올려준다는 말이 됩니다. 또한 어느 한 기업의 제품군이 다양해지면 매출이 오를 것이라..

경제상식 Day 19 - 리디노미네이션 (Redenomination)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최근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유튜브 등으로 영어 자막이 있는 한국의 콘텐츠를 많이 접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영상에서 돈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 문득 대한민국의 화폐 단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원화 100만 원을 이야기할 때 영어로는 1 million won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한국 돈 100만 원이 현재 네이버 환율로 약 $815 미국 달러, 그리고 약 744 유로 정도입니다.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통화들과 비교해봤을 때 원화의 단위는 유난히 큰 것이 보입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화폐 단위는 총 4번의 화폐 개혁을 거쳐 탄생한 결과물입니다. 하지만 그 마지막 4차 화폐개혁이 1962년에 일어났습니다. 그 당시와 비교해 현..

경제상식 Day 16 -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 있나요? 저는 얼마전 대한민국 국민들의 분노를 샀던 라임자산운용사가 떠오릅니다. 라임자산운용사는 투자자문사로 출발하여 2015년에 자산운용사로 전환하였고 지난해 여름 6조에가 가까운 자산을 운용하며 국내 1위 사모펀드 헤지펀드사였습니다. 하지만 이 대한민국 1위 헤지펀드사는 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내기위해 부실 자산들을 매입하는 등 여러가지 잘못된 투자 행위로 사실상 파산한 상태입니다. 라임자산운용이 각종 부정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잘못된 투자를 하였고 투자유치에 눈이 멀어 고객들에게 제대로된 설명을 하지 않은 부분은 분명 잘못된 것입니다. 하지만 투자자로서 자신이 투자하려는 펀드에 대해 제대로 조사해보지 않고 투자를 시작한 것도 잘못..

경제 상식 Day 1 - 낙수효과

낙수효과 대기업, 재벌, 고소득층 등의 성장이 곧 전체 경제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오늘은 경제 이론중 낙수효과 이론을 배워보려 합니다. 낙수효과, 또는 트리클다운 (Trickle-Down economics)효과 라고도 불리는 이 이론은 위에 보이는 그림과 같이 맨 윗 쪽의 술 잔이 꽉 차 넘쳐흐른 술이 다른 술 잔들을 고루 채우는 것 처럼, 정부가 투자를 늘려 대기업과 부유층의 부를 먼저 늘려주면 중소기업과 저소득층에게도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 결국 경기가 활성화되고 이에 더불어, 경제발전과 국민복지가 향상된다는 이론입니다. 제가 알아본바에 의하면, 1989년, 지금은 고인이 되신 미국의 41대 대통령 조지 H.W. 부시가, 대기업이 성장하면, 성장세가 하위 계층에게도 흘러가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