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Economic Common Sense

경제상식 Day 16 -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JUNNYS 2020. 5. 10. 11:51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 있나요?

저는 얼마전 대한민국 국민들의 분노를 샀던 라임자산운용사가 떠오릅니다. 라임자산운용사는 투자자문사로 출발하여 2015년에 자산운용사로 전환하였고 지난해 여름 6조에가 가까운 자산을 운용하며 국내 1위 사모펀드 헤지펀드사였습니다. 하지만 이 대한민국 1위 헤지펀드사는 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내기위해 부실 자산들을 매입하는 등 여러가지 잘못된 투자 행위로 사실상 파산한 상태입니다.

라임자산운용이 각종 부정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잘못된 투자를 하였고 투자유치에 눈이 멀어 고객들에게 제대로된 설명을 하지 않은 부분은 분명 잘못된 것입니다.

하지만 투자자로서 자신이 투자하려는 펀드에 대해 제대로 조사해보지 않고 투자를 시작한 것도 잘못이 아닌가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사모펀드에 로우리스크 하이리턴이란 존재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사모펀드만이 아니고 모든 투자가 그렇습니다. 하지만 사모펀드는 특히나 리스크가 높습니다.

그렇다면 각종 미디어의 경제면에 자주 등장하는 사모펀드란 무엇일까요?

사모(私募)펀드란 개인이나 기관투자자등 소수의 투자자에게서 비공개로 자금을 모아 주식과 채권등의 자산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펀드입니다. 사모펀드는 투자신탁업법에서는 100명이하, 증권투자회사법에서는 50명이하로 투자자 수를 제한합니다. 또한 사모펀드는 보통 높은 수익률을 바로보기 때문에 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에 투자해 기업가치를 높인 후 가격이 올라가면 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구사합니다.

사모펀드는 일반인에게 공개해서 유동성을 조달하는 공모펀드와는 달리 투자대상에대한 법규에서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모집된 자금을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공모펀드는 펀드 총액의 10%이상을 한가지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할 수 없는 반면 사모펀드는 이익을 낼 수 있다면 그 부문에 제한 없이 투자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최근 사모펀드의 수익률이 공모펀드의 수익률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고있는 저성장, 저금리 추세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의 자금이 조금 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사모펀드로 몰리며 사모펀드 시장은 매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