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Economic Common Sense

경제상식 Day 10 - 콘탱고 (Contango) 백워데이션 (Backwardation)

JUNNYS 2020. 4. 26. 04:45

 

안녕하세요 초보 투자자 Jun입니다.

지난번에 알아본 선물거래 기억하시나요, 오늘은 선물거래와 관련이 깊은 콘탱고 (Contango)와 백워데이션 (Backward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은 선물 만기 곡선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쓰이는 용어입니다.

콘탱고

"선물 고평가"라고 하면 좀 더 이해하기가 쉬우실 것 같습니다. 즉, 선물의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현물의 가격이 선물의 가격보다 낮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우상향의 곡선 그래프가 형성되는 것이죠. 

일반적으로는 콘탱고가 정상적인 시장의 상황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미래 시점에 받을 상품이나 서비스를 현재 시점에서 미리 구매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보관료, 보험료, 이자 등의 비용을 다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현물 가격 대비 프리미엄이 붙은 것이지요.

 

 

 

백워데이션

콘탱고의 상황이 정상적인 시장 상황이라고 합니다만 시장이 항상 정상 시장의 상황에 놓여있지는 않겠죠? 현물 가격이 선물 가격보다 높아지면 아래의 그래프처럼 우하향의 만기 곡선을 형성하게 되는 상황이 정상적이지 않은 시장의 상황, 즉 백워데이션의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백워데이션은 주로 공급물량이 부족해지거나 계절적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 주로 발생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선물거래 품목 중 하나인 가솔린 휘발유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올해는 바이러스 영향으로 조금 다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여름휴가철을 앞둔 4~5월에 휘발유 현물 가격이 급증하는 백워데이션 상황이 벌어집니다. 하지만 휴가철이 끝나는 8월부터는 현물 가격이 떨어져 정상 시장의 상황인 콘탱고로 복귀하게 되죠.

그렇다면 투자자로서 이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요? 투자자들은 콘탱고와 백워데이션을 바탕으로 선물을 사고파는 시점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어느 시점에 선물을 사고파는 것이 유리할까요?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선물시세가 현물시세보다 높은 콘탱고일 때 선물을 파는 것이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선물은 만기일이라는 게 존재하는데 그 만기일이 되면 그전에 고평가 된 선물 시세가 떨이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콘탱고, 백워데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